신소득 작물 "양파" - 효능 및 생산 현황
우리나라에 양파가 전래된 경로는 확실한 기록이 없어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908년 한국 중앙회보의 원예모범장 경종성적에 양파가 등장한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 후 1930년경에 전남 무안에서는 ‘장의진’, ‘강대광’씨가 처음 재배하였고, 그 후로 전남지역은 주로 무안, 함평·장성·나주·영광의 5개 군에서 재배가 되었다. 창녕에서는 1940년경에 ‘주수홍’ 씨가 환금작물이 될 수 있다는 착상에서 일본에서 종자를 구해 소규모로 재배를 시도한 것이 창녕 양파 재배의 시작이다. 양파가 본격적으로 재배된 것은 6. 25 이후 일본에서 양파종자가 들어오면서 부터라고 한다.
양파의 효능 및 식품적 가치
최근 양파가 건강에 유익한 것으로 입증되는 과학적인 사례들이 발표됨에 따라 기능성 식품으로 관심이 고조되어 앞으로도 소비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양파는 플라보노이드류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퀘르세틴이 대표적인 양파의 기능성 성분이다. 퀘르세틴과 퀘르세틴 배당체는 발암성 물질들의 활성 감소, 혈압 강하, 항산화, 모세혈관 강화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퀘르세틴은 껍질에 가까울수록 함유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양파 껍질 차 등의 개발을 통해 양파의 기능성 물질의 섭취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양파의 다양한 소비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적색양파는 안토시아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건강 기능성이 더 많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안토시아닌은 항암, 항염증, 항당뇨 및 심혈관계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양파에 함유된 황화합물은 항암, 항천식 등의 기능과 연관이 되어있다. 이처럼 양파의 다양한 기능성이 알려짐으로써 식재료 등 전통적인 활용 방식 외에도 건강식품으로서의 소비가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파 산업의 현황
가. 생산현황
양파는 전세계적으로 재배 면적 및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 작물이다. 2020년 전 세계 양파 재배 면적은 5,479천ha, 생산량은 104,554천 톤으로 2015년 재배 면적 5,835천ha, 생산량 91,349천 톤에 비해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재배 면적 및 생산량은 1980년 7.7천ha·275천 톤에서 2020년에는 14.7천ha·1,168천 톤으로 재배 면적은 2배, 생산량은 4배 정도 증가하였고, 재배 면적 및 생산량에 따라 연간 가격 차이가 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나. 소비 현황
최근에는 건강에 유익한 것으로 입증되는 과학적인 사례들이 발표됨에 따라 기능성 식품으로 관심이 고조되어 앞으로도 소비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양파의 수급은 전체적으로는 국내 생산에 의존하여 수급 균형을 유지하고 있으나 재배 면적의 급격한 증감에 따른 생산량의 변동이 심한 해에는 부분적으로 수출과 수입을 통하여 수급의 균형을 유지해왔다. 국내에서 양파는 주요 양념채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96%가 요식업체를 비롯한 가정용으로 소비되고 나머지 4% 정도가 건조양파 등 가공용으로 소비되어 왔으나 앞으로는 가공용의 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용도별로는 중국집에서의 생식 및 조미료용, 일반 가정에서의 조미 소스·절임·장아찌·나물무침 등으로 많이 이용되며, 가공용은 라면 등의 조미료와 케첩·소시지 등의 재료로 쓰이고 있다.
1인당 연간 양파 소비량은 매년 생산량의 증감에 따른 영향을 받고는 있으나 2005년이 17.0kg인 데 비해 2020년에는 24.1kg으로 양파의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 소비자들의 구매 형태는 양파망에 포장된 형태의 구매가 많으며 낱개로 판매되는 통양파, 깐양파 순이다. 양파의 저장성, 신선도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껍질을 까지 않은 통양파가 깐양파에 비해 신선도가 높고 저장이 길어지기 때문에 선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양파 망 단위 구매 시 1~1.5kg의 포장단위를 선호하며 7~9cm의 중간 크기, 원형인 양파를 선호한다. 또한 매운 맛이 약하고 단맛이 강한 양파를 선호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 생산량과 단수
2021년산 조생종 생산량은 217,425톤(전년 대비 6.9% 증가, 평년 대비 8.6% 감소), 중만생종은 1,152,147톤(전년 대비 1.3% 증가, 평년 대비 2.9% 감소)으로 나타났음
- 재배면적은 2020년산 양파 가격 강세로 조생종은 2,939ha(전년대비 9.6% 증가 , 평년대비 2.1% 증가)하였고, 중만생종은 15,593ha(전년대비 2.3% 증가, 평년 대비 11% 감소)로 나타났음
- 단수는 조생종 7,397kg/10a(전년 대비 2.4% 감소), 중만생종 7,389kg/10a (전년 대비 0.9% 감소)로 나타났음
'정보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과적인 디지털 마케팅 전략: SEO 마스터가 알려주는 비밀 (13) | 2024.03.03 |
---|---|
[귀농귀촌] 신소득작물 "양파" - 특성 및 재배 환경 (15) | 2024.03.02 |
[귀농귀촌] 신소득작물 "포도" - 수확 후 관리 기술 (16) | 2024.02.29 |
[귀농귀촌] 신소득작물 "포도" - 국내 가공 현황 (8) | 2024.02.28 |
[귀농귀촌] 신소득작물 " 포도 " - 재배 전망 (2) | 2024.02.25 |